유소년축구 스티키풋볼 2023. 10. 13. 21:56
새롭게 바뀐 대학 체육 특기자 진학 방법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2004년생이 고3이 되는 2022년부터는(2023년 대학입학자) 모든 전국대회의 팀 성적증명서 발급이 폐지된다. 한국대학 교육협의회 입학기획팀에서는 사전 스카우트는 없으며 최대한 공정하고 투명하게 체육 특기생을 선발하겠다고 발표하였는데(일단은 믿어 봐야...) 이 말은 대학교 체육특기자 자격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전국대회 8강, 4강 같은 팀의 성적은 반영하지 않고 학생 개인의 축구 실력만을 평가하겠다는 이야기이다. 그리하여 단순히 경기 수, 출전시간, 입상내용만을 표기하던 과거의 개인 실적증명서와는 달리 이동 거리, 패스 성공률, 볼 차단·크로스 횟수, 태클 또는 드리블 돌파 성공률 등의 데이터가 더해져 더 정교한 개인능력 ..
유·청소년기 시절에 많이 당하는 부상과 예방법 성장통, 오스굿 씨, 족관절 염좌(삠), 십자인대 파열, 피로 골절, 근육 손상(햄스트링), 이 외에도 다양한 부위에 생기는 염증(족저근막염 등)과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 등으로 고생하는 어린 선수들이 굉장히 많다. 외부의 힘(파울 또는 부딪힘)에 의한 부상도 많지만 부상의 또 다른 원인은 과도한 훈련으로 인한, 즉 훈련과 회복의 불균형에 있다. 그러므로 선수의 몸이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훈련만을 계획하고 복근, 등 근육, 허벅지, 엉덩이 같은 중심근육(코어)을 강화해 하체 쪽으로 가는 스트레스와 부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 운동 전 준비운동, 운동 후 얼음찜질 및 마사지(폼 롤러 이용) 등을 거르지 않는다면 부상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부상예방도..
프로 축구선수가 될 확률 한 때 온라인에서 유명했던 통계가 있다. 초등학교 때 축구를 시작하여 성인 프로선수가 될 확률을 계산한 자료였는데 그 확률이 무려 0.78%. K3와 K4선수들을 합칠 경우는 2-3%까지 올라간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그 때와 또 달라져 본인이 원한다면 대학교까지 축구를 계속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지방이나 수도권의 몇몇 대학들은 선수들을 꾸준히 모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매년 쏟아져 나오는 ‘2700명의 선수들 중 어떻게 150명안에 들 것인가’ 이다. * 고등학교 선수(U18)가 6,185명인데 편의상 3으로 나눠 고3 졸업반 선수 숫자를 2000명으로 잡고 2,751명의 대학선수들을 편의상 4로 나눠 졸업하는 선수들을 700명으로 잡았을 때 매년 2700명의 축구 취..